Abstract
Cancer-related anorexia-cachexia syndrome (CACS) is a hypercatabolic state, characterized by reduced appetite and weight loss due to ongoing loss of skeletal muscle mass and adipose tissue. CACS occurs mainl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thus, weight loss in CACS is often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and decreased survival.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various pharmacologic agents for palliation of cancer-related anorexi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pre-existing pharmacologic agents used for CACS and to evaluate the evidence from current studies on each pharmacologic agent. First, appetite stimulants such as corticosteroids, progestins, cyproheptadine, and cannabinoid have been shown to be beneficial by improving appetite and helping with weight changes even if they had no effect on survival rate. Several other agents with anti-inflammatory effects (e.g., eicosapentaenoic acid, thalidomide, and melatonin), prokinetic agents (e.g., metoclopramide), anabolic agents (e.g., androgens and growth hormone), antipsychotics (e.g., mirtazapine and olanzapine), and antiemetics have also been studied in patients in CACS;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s would be required to confirm the beneficial effects.
-
Keywords: Neoplasms; Anorexia; Cachexia; Glucocorticoids; Progestins
서론
암과 관련한 식욕 부진 또는 악액질 증후군(cancer-related anorexia-cachexia syndrome, CACS)은 지속적인 식욕 부진 및 체중 감소를 특징으로 한 과도한 이화 상태(hypercatabolic)를 의미하며, 이로 인한 근육 및 지방 분해의 증가, 영양학적 대사 불균형 등을 초래할 수 있다.
1-3 CACS 환자에게는 기초대사량(resting energy expenditure)의 증가, 지방 생성 감소 및 지방 분해 증가, 근육의 단백질 분해 증가 등 비정상적인 대사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CACS에서 체중 감소는 굶주림 또는 기아 상태와는 다르며, 정상적인 음식 섭취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근육 및 지방 조직 감소의 특징을 가진다. 지속적인 골격근의 손실은 환자의 기능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CACS 환자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변화는 종양괴사인자-α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인터루킨(interleukin, IL)-6, IL-1 beta 등의 싸이토카인이 관여한 염증 반응과 관련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7
CACS는 말기 암환자에게 빈번하게 발생한다. 종양 및 정상조직에서 생성되는 싸이토카인들은 식욕을 억제하는 leptin signaling을 발생시키고, 식욕 자극 호르몬인 ghrelin 및 식이자극 펩타이드인 neuropeptide Y signaling을 억제함으로써 지속적인 식욕 부진을 유발한다. 또한 싸이토카인들은 종양과 관련한 단백질 소모를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8 CACS는 chemoreceptor trigger zone을 자극함으로써 발생하는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오심, 구토와는 다르다. 따라서 항암화학요법의 투여 여부에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다.
9,10
CACS 환자에게 체중 감소는 질병의 진행 및 예후와 관련한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11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의 3,047명의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기관, 후향적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기 전 5% 이상의 체중 감소는 초기 사망의 예측 인자로 평가되었다. 체중 감소는 종양의 진행상태, 종양의 조직학적 특징, 환자수행상태와 상관없는 독립적인 예측 인자였다.
11 또한 항암화학요법을 투여받는 동안 체중이 감소되는 환자들은 약물에 대한 반응도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1 위암 및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서도 체중 감소는 삶의 질 감소와 관련있는 인자였으며, 항암화학요법의 독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12 환자수행상태 점수가 1점인 위암 및 췌장암 환자의 80% 이상에게 식욕 부진 및 체중 감소가 나타났다는 보고도 있다.
13
단백질 이화 작용의 증가는 CACS의 주요 특징이므로, 경장영양 또는 정맥영양요법만을 사용한 영양 공급은 CACS 치료의 효과에 매우 제한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14,15 따라서 영양요법 이외에 약물요법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CACS에 사용되는 약물요법은 식욕촉진제, anticatabolic (antimetabolic and anticytokine), anabolic agents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종설에서는 CACS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약물요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론
1. 식욕촉진제
CACS에 사용하는 식욕촉진제는 corticosteroids, progestins, cyproheptadine, cannabinoids가 있다. Corticosteroids와 progestins는 CACS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식욕 개선과 체중 증가에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현재 국내에서 암성 악액질에 허가 적응증을 받은 약물은 megestrol acetate와 cyproheptadine이며, 각 약물의 국내외 적응증 여부는
Table 1에 나타나 있다.
Table 1Medications for appetite stimulants
Medication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dication |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dication |
Corticosteroids |
Dexamethasone |
△ |
△: CINV |
Prednisolone |
△ |
△: CINV |
Methylprednisolone |
△ |
△: CINV |
Progestins |
Megestrol acetate |
○ |
○ |
Medroxyprogesterone acetate |
△ |
△ |
Cannabinoids |
Tetrahydrocannabinol |
× |
△: CINV, appetite stimulation in AIDS patients |
Cyproheptadine |
Cyproheptadine |
○ (combination product with cyanocobalamine, carnitine, lysine) |
○: (off-label) decreased appetite secondary to chronic diseases |
CACS에 사용되는 corticosteroids의 식욕 촉진 작용 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euphorigenic 및 항염증 효과, 시상하부에서 orexigenic hormones 자극으로 식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Corticosteroids 제제로는 dexamethasone, prednisolone, methylprednisolone 등이 있다. CACS 환자에게 다양한 corticosteroids 제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은 647명을 포함한 6개의 무작위배정 임상시험(randomized clinical trials, RCTs)을 분석하였다.
16 이 중 2개의 RCT에서 intravenous methylprednisolone sodium succinate 125 mg/d를 8주 동안 투여하였고 이는 위약군과 비교하여 식욕 개선, 통증 감소, 삶의 질 개선 등이 나타났다. 다른 crossover RCT에서는 oral methylprednisolone 32 mg/d, 14일간 복용하였을 때 위약군과 비교하여 식욕과 환자수행상태에 개선이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또 다른 RCT에서는 prednisolone 10 mg/d로 6주간 투여하여 위약군 대비 식욕과 삶의 질 항목에서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고 언급하였다. 2개의 RCT에서는 dexamethasone을 3∼8 mg/d로 투약하여 위약군 대비 체중의 유의한 증가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16 Corticosteroids의 식욕 촉진 기간은 비교적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기간 복용 시 근육병증, 골다공증, 면역 억제, 부종, 인슐린 내성 증가 및 혈당 증가, 감정 변화 등의 유해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17
Progestins는 호르몬 양성 유방암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체중 증가는 이 약물의 유해 반응 중 하나이다. CACS에 사용되는 작용 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IL-1, IL-6, TNF-α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시상하부에서 neuropeptide Y orexigenic network를 자극함으로써 식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CACS에 사용되는 progestins 제제로는 megestrol acetate와 medroxyprgesterone acetate이 있다. CACS 환자에게 megestrol acetate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진행된 35개의 임상 시험을 포함한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3,963명을 대상으로 유효성을 평가하고 3,180명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18 메타 분석 결과 megestrol acetate는 위약군에 비해서 암 및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환자에게 식욕 개선 및 체중 증가에 효과가 있었음을 나타냈다.
18 또 다른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megestrol acetate는 CACS 환자에게 사용 시 위약군과 비교하여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식욕 개선(number needed to treat [NNT]: 3) 및 체중 증가(NNT: 8)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19 우리나라의 10개 의료기관에서 진행된 다기관, 공개, 관측연구는 두경부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는 2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megestrol acetate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megestrol acetate 800 mg 1일 1회 4주 복용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평균 체중 감소가 유의하게 적었으며(실험군 0.71±3.12 kg, 대조군 3.61±5.68 kg, P=0.046), 식욕 점수의 증가, 오심 및 구토 점수의 감소, 삶의 질 개선의 결과를 나타냈다.
20 암 환자에게 megestrol acetate의 최적 투여량, 즉 효과와 독성 사이의 가장 적절한 용량은 480∼800 mg/d로 보고되었다.
21-23 유해 반응으로 혈전색전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수술이나 외상 등의 혈전색전증 고위험군 환자에게는 추천되지 않는다.
18,19 또한 남성에서는 성기능 장애, 여성에서는 질의 반점이나 출혈 등의 유해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Cyproheptadine은 5-hydroxytryptamine (5-HT) 수용체 길항제 및 histamine-1 수용체 길항제로, 유암종 환자의 식욕 부진에 사용할 수 있다. 말기 암질환을 가진 29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RCT에서 cyproheptadine 8 mg을 경구로 하루 세 번 투여하는 것은 위약군과 대비하여 오심(P=0.02)과 구토(P=0.11)가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24 그러나, 말기 암 환자에게 한달 동안 체중 감소는 cyproheptadine군에서 평균 2.0 kg, 위약군에서 평균 2.2 kg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하지 않았으며(P=0.72), 진정 및 어지러움의 유해 반응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19 CACS를 가진 66명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에서는 50명의 환자가 cyproheptadine에 반응하였으며 평균 체중이 2.6 kg 증가하였다.
25 임상 시험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cyproheptadine의 항히스타민 효과로 인해 진정 효과와 졸음의 유해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24,25
Cannabinoids는 대마(
Cannabis sativa)의 환각 작용을 나타내는 생리활성물질의 총칭으로, 식욕 촉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26 그 중 활성이 가장 강한 tetrahydrocannabinol (THC)이 현재 미국에서 dronabinol이라고 성분명으로 암성 악액질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CACS를 가진 243명의 성인 환자에게 cannabis extract와 THC, 위약을 비교한 RCT 결과 각각 식욕이 73%, 58%, 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7 469명의 CACS 환자를 대상으로 한 RCT에서 megestrol acetate군(800 mg, 하루 한 번)과 dronabinol군(2.5 mg, 하루 두 번)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megestrol acetate군은 dronabinol군과 비교하여 식욕 개선(75%
vs. 49%, P=0.0001) 및 체중 증가(11%
vs. 3%, P=0.02)에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28 THC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오심이나 발음이 불분명해지는 등의 신경정신학적 유해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2
2. 항염증제
CACS의 전신적인 증상 발현은 주로 TNF-α, IL-6 등의 싸이토카인에 의해 매개된다.
5,6 따라서 이러한 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eicosapentaenoic acid (EPA), thalidomide, melatonin 등의 항염증제를 사용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EPA는 fish oil에 풍부한 omega-3 fatty acid이다. Cyclooxygenase에 의해 eicosanoid로 대사되며 arachidonic acid의 경쟁적 저해제로서 염증반응을 감소시킨다. CACS에 대한 EPA의 사용은 현재까지 나온 임상 시험 결과 효과적이며 유해 반응도 적은 편이나 아직 임상 시험 자료가 충분하지는 않다.
29,30 Thalidomide는 무작위 임상 시험에서 AIDS cachexia 환자에서 체중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 작용 기전은 TNF-α의 억제제로서 macrophage에 의해 생성되는 TNF-α의 mRNA 전사체의 분해를 촉진한다.
32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소규모 임상 시험 결과 체중과 근육량 증가 효과가 기대되는 바이지만 thalidomide의 최기형성 발현을 포함한 심각한 유해 반응으로 인해 현재 표준 치료로 권고되지는 않는다.
33 Melatonin은 교란된 생체주기를 바로잡고 TNF-α의 발현을 억제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 Melatonin의 cancer cachexia에 대한 임상적 성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임상 시험이 시행되었으나, 아직 표준치료요법이 되기에는 확증이 필요하다.
34,35
3. 대사 관련 약물
CACS 환자는 이화 작용이 과도하게 일어나고 상대적으로 동화 작용은 부족한 상태가 지속된다. 이러한 병리학적 특징에 기인한 대사 관련 약물은 insulin, growth hormone, androgen 제제, hydrazine sulfate 등이 있다.
2 Insulin은 암 환자의 전신 단백질 분해율을 감소시키고 골격근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ACS 환자를 대상으로 insulin을 투여하여 전체 생존율을 관찰하는 임상 시험이 이루어졌으나 해당 조건에서 insulin의 잠재적 효과와 독성을 평가하기에는 자료가 부족하다. Recombinant growth hormone은 growth hormone이 부족한 사람에게 투여되었을 때 체지방 감소, 근육량 증가, 골밀도 증가와 같은 효과를 나타냈다.
36 그러나 암 환자에서 종양 증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중환자에서 급성 반응에 사용되는 아미노산과 에너지를 골격근으로 전환시켜 환자의 신체 방어 기전을 둔화시킬 우려가 있다.
37 대안으로 growth hormone receptor의 ligand인 ghrelin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하는 접근법이 있으나 현재 임상 시험 중이다. Ghrelin은 growth hormone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 외에도 orexigenic neuropeptide Y system에 관여하고 당과 지질대사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자료가 더 필요하다. Androgen 제제인 anabolic androgenic steroids에는 oxandrolone, fluoxymestrone 등이 있으며 이들은 근육 세포에서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임상 시험 결과 dexamethasone이나 megestrol acetate보다 좋은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했다.
38 새로운 약물군으로 selective androgen receptor modulator가 현재 개발 중에 있다. Hydrazine sulfate는 당 신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의 비경쟁적 저해제로서 CACS의 치료 약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임상 시험 결과 암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어떠한 임상적 이점도 나타내지 못했으며,
39,40 드물지만 심각한 신경독성 유해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CACS의 치료에 권고되지 않는다.
4. 보조요법
CACS의 보조적 약물 요법으로 위장관 운동 조절제, 정신신경용제, 항구토제, branched chain amino acid (BCA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 위장관 운동 조절제인 metoclopramide는 CACS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 결과 오심의 개선 효과를 나타냈으나 칼로리 섭취와 식욕의 증가는 보고되지 않았다. 항우울제인 mirtazapine은 표준 용량으로 사용시 체중 증가와 음식 섭취 증가를 나타낸다. Olanzapine은 pilot study에서 megestrol과 병용했을 시 식욕 촉진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무작위 임상 시험 결과가 더욱 필요하다.
41 5-HT3 antagonist인 ondansetron는 항구토제로 사용되며, 연구 결과 식욕 촉진 효과를 나타냈으나, 체중 감소에는 영향이 없었다.
42 BCAA는 혈액-뇌-관문 운반 시스템에서 트립토판과 경쟁하여 뇌의 트립토판 농도를 감소시키고, 이는 곧 세로토닌의 활성을 감소시켜 식욕 부진 효과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현재 식욕 촉진의 목적으로 권고하기에는 자료가 불충분하다.
결론
CACS는 말기 암 환자의 생존과 삶의 질에 부정적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다양한 약물들이 CACS의 치료에 연구되었으나 이 중 corticosteroids와 progestins계 약물만이 CACS 관련한 식욕 부진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른 anticachexia agents들은 전임상 및 초기 연구에서 기대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명확한 유효성 및 안전성은 대규모 RCT를 통하여 입증될 필요가 있으며 향후 더욱 많은 연구 결과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onflict of interest: None
References
- 1. Del Fabbro E. Current and future care of patients with the cancer anorexia-cachexia syndrome. Am Soc Clin Oncol Educ Book 2015;35:e229-37.
- 2. Fearon K, Strasser F, Anker SD, Bosaeus I, Bruera E, Fainsinger RL, et al.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ancer cachexia: an international consensus. Lancet Oncol 2011;12(5):489-95. Article
- 3. Vigano A, Del Fabbro E, Bruera E, Borod M. The cachexia clinic: from staging to managing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blems in advanced cancer patients. Crit Rev Oncog 2012;17(3):293-303. Article
- 4. Argilés JM, Busquets S, López-Soriano FJ. Cytokines in the pathogenesis of cancer cachexia.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2003;6(4):401-6. Article
- 5. Gelin J, Moldawer LL, Lönnroth C, Sherry B, Chizzonite R, Lundholm K. Role of endogenous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interleukin 1 for experimental tumor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cancer cachexia. Cancer Res 1991;51(1):415-21.
- 6. Strassmann G, Fong M, Kenney JS, Jacob CO. Evidence for the involvement of interleukin 6 in experimental cancer cachexia. J Clin Invest 1992;89(5):1681-4.
- 7. An SH. Protein metabolism and glutamine supplementation in stress condition. J Clin Nutr 2014;6(2):56-8. Article
- 8. Suzuki H, Asakawa A, Amitani H, Nakamura N, Inui A. Cancer cachexia--pathophysiology and management. J Gastroenterol 2013;48(5):574-94. ArticlePDF
- 9. Tranmer JE, Heyland D, Dudgeon D, Groll D, Squires-Graham M, Coulson K. Measuring the symptom experience of seriously ill cancer and noncancer hospitalized patients near the end of life with the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 J Pain Symptom Manage 2003;25(5):420-9.
- 10. Sarhill N, Mahmoud F, Walsh D, Nelson KA, Komurcu S, Davis M, et al.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in advanced metastatic cancer. Support Care Cancer 2003;11(10):652-9. ArticlePDF
- 11. Dewys WD, Begg C, Lavin PT, Band PR, Bennett JM, Bertino JR, et al. Prognostic effect of weight loss prior to chemotherapy in cancer patients. Am J Med 1980;69(4):491-7. Article
- 12. Andreyev HJ, Norman AR, Oates J, Cunningham D. Why do patients with weight loss have a worse outcome when undergoing chemotherapy for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Eur J Cancer 1998;34(4):503-9. Article
- 13. Bozzetti F, Mariani L, Lo Vullo S, Amerio ML, Biffi R, Caccialanza G, et al. The nutritional risk in oncology: a study of 1,453 cancer outpatients. Support Care Cancer 2012;20(8):1919-28. Article
- 14. Ovesen L, Allingstrup L, Hannibal J, Mortensen EL, Hansen OP. Effect of dietary counseling on food intake, body weight, response rate,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J Clin Oncol 1993;11(10):2043-9. Article
- 15. Barber MD, Fearon KC, Delmore G, Loprinzi CL. Should cancer patients with incurable disease receive parenteral or enteral nutritional support? Eur J Cancer 1998;34(3):279-85. Article
- 16. Yavuzsen T, Davis MP, Walsh D, LeGrand S, Lagman R. Systematic review of the treatment of cancer-associated anorexia and weight loss. J Clin Oncol 2005;23(33):8500-11. Article
- 17. Lexi-Drugs Online. Hudson (OH): Lexi-Comp Inc; [cited 2015 Jun 3]. Available from:
http://online.lexi.com/lco/action/home
- 18. Ruiz Garcia V, López-Briz E, Carbonell Sanchis R, Gonzalvez Perales JL, Bort-Marti S. Megestrol acetate for treatment of anorexia-cachexia syndrom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3:CD004310.
- 19. Leśniak W, Bała M, Jaeschke R, Krzakowski M. Effects of megestrol acetate in patients with cancer anorexia-cachexia syndrome--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ol Arch Med Wewn 2008;118(11):636-44. Article
- 20. Kim SH, Kim MS, Kim YM, Kim HS, Nam SY, Rho YS, et al. Multicenter, open-labeled, observational clinical trial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oral administration of megace suspension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during radiotherapy. Korean J Head Neck Oncol 2008;24(1):57-63.
- 21. Loprinzi CL, Michalak JC, Schaid DJ, Mailliard JA, Athmann LM, Goldberg RM, et al. Phase III evaluation of four doses of megestrol acetate as therapy for patients with cancer anorexia and/or cachexia. J Clin Oncol 1993;11(4):762-7. Article
- 22. Vadell C, Seguí MA, Giménez-Arnau JM, Morales S, Cirera L, Bestit I, et al. Anticachectic efficacy of megestrol acetate at different doses and versus placebo in patients with neoplastic cachexia. Am J Clin Oncol 1998;21(4):347-51. Article
- 23. Bruera E, Ernst S, Hagen N, Spachynski K, Belzile M, Hanson J, et al. Effectiveness of megestrol acetate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study. Cancer Prev Control 1998;2(2):74-8.
- 24. Kardinal CG, Loprinzi CL, Schaid DJ, Hass AC, Dose AM, Athmann LM, et al. A controlled trial of cyproheptadine in cancer patients with anorexia and/or cachexia. Cancer 1990;65(12):2657-62. Article
- 25. Couluris M, Mayer JL, Freyer DR, Sandler E, Xu P, Krischer JP. The effect of cyproheptadine hydrochloride (periactin) and megestrol acetate (megace) on weight in children with cancer/treatment-related cachexia. J Pediatr Hematol Oncol 2008;30(11):791-7. Article
- 26. Inui A. Cancer anorexia-cachexia syndrome: are neuropeptides the key? Cancer Res 1999;59(18):4493-501.
- 27. Cannabis-In-Cachexia-Study-Group. Strasser F, Luftner D, Possinger K, Ernst G, Ruhstaller T, et al. Comparison of orally administered cannabis extract and delta-9-tetrahydrocannabinol in treating patients with cancer-related anorexia-cachexia syndrome: a multicenter, phase III,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from the Cannabis-In-Cachexia- Study-Group. J Clin Oncol 2006;24(21):3394-400. Article
- 28. Jatoi A, Windschitl HE, Loprinzi CL, Sloan JA, Dakhil SR, Mailliard JA, et al. Dronabinol versus megestrol acetate versus combination therapy for cancer-associated anorexia: a North Central Cancer Treatment Group study. J Clin Oncol 2002;20(2):567-73. Article
- 29. Dewey A, Baughan C, Dean T, Higgins B, Johnson I. Eicosapentaenoic acid (EPA, an omega-3 fatty acid from fish oil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achexia.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1):CD004597. Article
- 30. Murphy RA, Mourtzakis M, Chu QS, Baracos VE, Reiman T, Mazurak VC. Nutritional intervention with fish oil provides a benefit over standard of care for weight and skeletal muscle mass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Cancer 2011;117(8):1775-82. Article
- 31. Reyes-Terán G, Sierra-Madero JG, del Martínez Cerro V, Arroyo-Figueroa H, Pasquetti A, Calva JJ, et al. Effects of thalidomide on HIV-associated wasting syndrome: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Aids 1996;10(13):1501-7. Article
- 32. Tramontana JM, Utaipat U, Molloy A, Akarasewi P, Burroughs M, Makonkawkeyoon S, et al. Thalidomide treatment reduces tumor necrosis factor alpha production and enhances weight gain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Mol Med 1995;1(4):384-97. ArticlePDF
- 33. Gordon JN, Trebble TM, Ellis RD, Duncan HD, Johns T, Goggin PM. Thalidomide in the treatment of cancer cachexia: a randomised placebo controlled trial. Gut 2005;54(4):540-5. Article
- 34. Lissoni P, Paolorossi F, Tancini G, Barni S, Ardizzoia A, Brivio F, et al. Is there a role for melatonin in the treatment of neoplastic cachexia? Eur J Cancer 1996;32A(8):1340-3. Article
- 35. Lissoni P, Paolorossi F, Ardizzoia A, Barni S, Chilelli M, Mancuso M, et al. A randomized study of chemotherapy with cisplatin plus etoposide versus chemoendocrine therapy with cisplatin, etoposide and the pineal hormone melatonin as a first-line treatment of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in a poor clinical state. J Pineal Res 1997;23(1):15-9. Article
- 36. Carroll PV, Christ ER, Bengtsson BA, Carlsson L, Christiansen JS, Clemmons D, et al.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dulthood and the effects of growth hormone replacement: a review. J Clin Endocrinol Metab 1998;83(2):382-95. Article
- 37. Takala J, Ruokonen E, Webster NR, Nielsen MS, Zandstra DF, Vundelinckx G, et al. Increased mortality associated with growth hormone treatment in critically ill adults. N Engl J Med 1999;341(11):785-92. Article
- 38. Loprinzi CL, Kugler JW, Sloan JA, Mailliard JA, Krook JE, Wilwerding MB, et al. Randomized comparison of megestrol acetate versus dexamethasone versus fluoxymesteron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orexia/cachexia. J Clin Oncol 1999;17(10):3299-306. Article
- 39. Loprinzi CL, Goldberg RM, Su JQ, Mailliard JA, Kuross SA, Maksymiuk AW, et al. Placebo-controlled trial of hydrazine sulfate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non-small-cell lung cancer. J Clin Oncol 1994;12(6):1126-9. Article
- 40. Kosty MP, Fleishman SB, Herndon JE 2nd, Coughlin K, Kornblith AB, Scalzo A, et al. Cisplatin, vinblastine, and hydrazine sulfate in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phase I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J Clin Oncol 1994;12(6):1113-20. Article
- 41. Navari RM, Brenner MC. Treatment of cancer-related anorexia with olanzapine and megestrol acetate: a randomized trial. Support Care Cancer 2010;18(8):951-6. ArticlePDF
- 42. Kotler DP. Cachexia. Ann Intern Med 2000;133(8):622-34. Article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