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6월에 발행되는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JCN)에는 3편의 원저와 1편의 증례를 게재하였습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이연주 선생님은 “복와위 상태 중환자에서의 영양공급에 따른 임상적 예후 분석”이라는 내용으로 원저를 게재하였습니다.
1 복와위 상태에서 경장 영양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구토, 흡인 등의 합병증 발생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으나 특별한 권고사항은 없는 상태입니다. 저자들은 복와위 상태로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경정맥 및 경장 영양 공급을 시행한 결과를 분석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세브란스병원 약무국 손은선 선생님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소아 환자에서 정맥영양의 유효성 평가”라는 원저를 게재하였습니다.
2 혈액질환으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는 소아 환자에서 공격적인 정맥 영양 공급을 시행한 결과 환자들의 영양상태를 적절하게 유지시키고, 초기 치료 결과를 향상시킨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환자들에서 영양공급 관련 합병증이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영양집중지원팀의 지수나 선생님은 “영양불량환자의 중증도 적용 향상을 위한 영양지원팀 협의진료체계 개선활동의 중요성”이라는 내용으로 원저를 게재하였습니다.
3 영양불량환자에 대한 영양 지원에서 개별 진료과가 아닌 협진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는 상황에서 저자들은 의료기관에서 협의진료체계 개선활동의 내용을 보고하였습니다.
단국대학교병원 외과 지예섭 선생님은 “Esophageal obstruction caused by the solidification of residue of an enteral feeding formula”라는 내용으로 증례 보고를 하였습니다.
4 급성 중증 환자에서 경장 영양 공급은 대부분 Levin 튜브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저자들은 Levin 튜브 위치가 식도에 위치하면서 식도 막힘 현상이 나타난 두 명의 환자에 대한 증례를 보고하였습니다. 튜브 영양 공급을 받는 환자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이므로 의료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JCN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겠습니다.
JCN 편집간사 허 훈 (아주대학교병원 외과)
JCN 편집위원장 박효정 (삼성서울병원 약제부)
JCN 편집위원장 이혁준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References
- 1. Lee Y, Kim HS, Namgung H, Lee ES, Lee E, Cho YJ, et al. Clinical outcomes of nutritional supply in critically ill patients in the prone position. J Clin Nutr 2018;10(1):2-8. Article
- 2. Lim SY, Jung MJ, Park JE, Kim JS, Kim SH, Lyu CJ, et al. Effects of parenteral nutrition in pediatric patients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J Clin Nutr 2018;10(1):9-19. Article
- 3. Kwon KH, Lee HS, Yoo JH, Chi SN, Park HH, Kim SW, et al.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to facilitate the filing of complexity payment claims for patients with malnutrition. J Clin Nutr 2018;10(1):20-4. Article
- 4. Jo H, Chang YR, Kim SM, Kim DW, Jee YS. Esophageal obstruction caused by the solidification of residue of an enteral feeding formula. J Clin Nutr 2018;10(1):25-30. Article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